본문 바로가기
게임/삼국지전략판

삼국지전략판 시즌2 오늘의 pvp 실전 전보(1) + 오도독vs사마방 직관 전보

by 다롱이 2021. 12.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 오전도 열심히 구궁팔괘에 박았습니다.

오늘 오전에만 전공 21,000 정도를 더 먹어서 이번주는 89,000 정도 모았습니다.ㅎㅎ

병력을 거의 다 회복한 상태라서 오후에 한번 더, 밤에 한번 더 싸워야죠!

 

구궁팔괘는 공방 15%의 효과도 있지만, 왠지 모르게 전법 발동률도 차이가 나는 듯한 느낌이 자주 들어요.

 

전보 중에서 참고해 볼 만한 것 위주로, 시간 순서대로 바로 들어갑니다.

 

<장하곽 vs 제황법>

1. 이 전투는 구궁팔괘에서 싸운 건 아니네요.

2. 사망자수 비교해보면 약소하게 이겼습니다.

3. 황충이 일제사격을 가져간다면 엄청 강력할 수도 있겠어요.

 

<감태정 vs 주육여 - 구궁팔괘>

1. 주육여(오도독) 덱은 액티브 전법이 많아서 제갈량의 신기묘산, 태사자의 연격 허망에 많이 약한 것 같아요.(하지만 이게 또 여몽이 백마의종+기세등등을 끼고 태사자가 무장해제가 걸리면 감태정이 참패하더라고요. 오도독덱은 여몽의 전법을 백마의종+기세등등으로 가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인 것 같습니다.)

2. 장하곽처럼 초반부터 몰아붙여야 하는 오도독 덱은 백마의종이 필수인데 없었고, 전반적으로 전법도 빠져 있어서 승리한 것 같습니다.

3. 그래도 주유는 혼비백산을 끼고 있어서 셉니다.

 

<장하곽 vs 원주장 - 구궁팔괘>

1. 구궁팔괘를 뚫고 쉽게 이기긴 했습니다.

2. 장하곽은 낙봉에는 별 타격이 없는 점, 원주장이 무당비군이 아니었던 점이 사망자수 차이가 컸던 이유인 것 같습니다.

3. 위 덱과는 달리 원소의 진급이 높고, 무당비군을 갖춘 원소군덱은 장료의 1턴 공격을 버티고 이어지는 명성이 터지면 장하곽이 힘들어 지더라고요.

4. 주준은 어느 때든 딜을 잘 넣습니다. 주준은 꼭 키우세요. 정 안 되면 병기부대로 쓸 수도 있고요.

 

반응형

 

<장하곽 vs 제방서 - 구궁팔괘>

1. 장료가 잘 싸워서 이긴 전투입니다. 장하곽 치고 적 사망자를 13,000명이나 내는 경우는 많지 않은데 잘 싸웠네요.

2. 상대 서서가 기정상생 서서였는데요. 6턴 동안 굳건한 마음이 3번, 극적제승이 2번 발동하였으나 허약은 1번밖에 터지지 않았습니다.

3. 촉지덱은 확실히 허망을 가진 돌격덱에 약한 것 같습니다. 제갈량 의심암귀 발동이 0회라서 노딜이 나왔습니다.

 

<감태정 vs 원진주 - 구궁팔괘>

1. 참패했습니다.

2. 필드에서 싸우면 감태정이 99% 쉽게 승리하지만, 이번에는 상대가 구궁팔괘를 받았고, 감녕의 병력이 적기도 했고, 원소와 진궁의 진급 상태도 좋아서 진 것 같아요. 전법 상태는 서로 무난했습니다.

3. 3턴만에 주장이 사망하면서 전투가 끝났습니다.

3. 주준이 젤 셉니다. 황건적평정+무당비군의 조합은 정말 안정적인 것 같아요.

 

<관장법 vs 육여황 - 구궁팔괘>

1. 주육황, 주육여는 센데 육여황은 공격력이 약해서 애매하네요.

2. 게다가 백마의종도 없어서 완승했습니다.

3. 제가 육손덱이 레벨 46이 넘어가면서, 전법 변경을 했습니다. 정욱의 태평을 육손에게, 관우의 백미를 정욱에게 주었습니다. 관우에게는 일망+천하무적을 줘봤어요. '3개 중에 1개는 터지겠지' 컨셉입니다. 테스트 중입니다.

 

4. 일단 전법 교체하고 첫 전투인데, 잘 터졌네요.

 

<장하곽 vs 감태정 - 구궁팔괘>

1. 상대 진급상태도 좋았고, 백마 때문에 선공도 뺏겼고, 구궁팔괘까지 두르고 있어서 쉽지 않을 수 있었지만,

2. 1턴은 딜을 못 넣었으나, 2턴에 장료가 숨겨진계책+귀신의힘(대노)을 모두 터트려 적 감녕에게 6,000의 딜을 넣으면서 승리했습니다.

3. 장료의 귀신의힘은 3번째 슬롯에 넣어야 좋습니다. 2번째 슬롯으로 먼저 쳐서 병력을 50% 미만으로 낮춰주면 귀신의 힘-대노가 발동해서 더 세지거든요.

4. 장료 짱(상대하면 짱남)

 

<장하곽 vs 장하곽 - 구궁팔괘>

1. 미러전입니다. 상대는 구궁팔괘에 고진급이었습니다만 완승을 거뒀습니다. 8,558 vs 4,504.

2. 일단 진급은 밀렸으나 레벨 차이가 있었고요. 저는 장료에게 속도 +7, 하후연에게 속도+16을 주어 선공을 가져갔는데, 운 좋게 전법도 잘 발동하면서 적은 병력으로 이겼네요. 선공을 가져가도 정작 전법이 발동하지 않으면 망이거든요.

3. 상대가 사기가 낮아서 사기로 인한 피해량도 12% 줄긴 했습니다. 그래도 구궁도를 반영하면 최종 3% 증가입니다.

4. 전투는 4턴에 끝났습니다.

5. 하후연의 강공이 2번 발동한 반면, 상대 하후연의 병봉은 발동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극악무도 vs 날렵한 칼날. 그 차이였던 것 같아요.

 


추가로 제 전보는 아니고, 오도독덱 전보가 있어서 올려봅니다.

 

<주육여 vs 사조조 - 구궁팔괘>

1. 구궁팔괘를 두른 만렙 사조조와 49렙 무진급 주육여가 붙었습니다.

2. 사조조는 전법을 다 갖추고 진급도 꽤 된 반면, 주유는 혼비백산이 없었고, 육손도 태평도법이 없었으며, 백마의종이나 무당비군도 없었습니다.

3.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육여가 전공을 짭짤히 챙기면서 완승을 거뒀습니다. 이 정도면 가성비까지 완벽히 챙긴 완벽한 사마방덱의 카운터덱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4. 그나마 구궁팔괘, 혼비백산 없음, 태평도법 없음이어서 사마의가 딜을 넣을 수 있었을 것이고, 그렇지 않았다면 4턴 전에 전투가 끝났을 수도 있겠습니다.

 

<주육여 vs 사조화 - 구궁팔괘>

1. 구궁팔괘+풀진급+풀전법 사마방덱을 상대로 완승을 거뒀네요.

2. 사마방덱 상대로는 백마의종보다 무당비군이 낫겠습니다. 참고로 치료가 많은 덱 상대로는 선공보다 후공을 가져가는 게 더 유리합니다. 상대의 치료를 낭비시키거나 치료량을 줄일 수 있어서 그렇습니다.

3. 혼비백산이 있다면 주유의 불타는 군영을 빼고 혼비백산을 넣고, 여몽의 극적제승을 빼고 불타는 군영을 넣어주면 더 좋을 것 같기도 하네요.

4. 주유 짱!

 

 

오전 전보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