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공부

벤자민 그레이엄 안전마진 계산법에 따른 주요 미국기업 가치평가(8월 2주차)

by 다롱이 2024. 8. 11.
반응형

 

벤자민 그레이엄의 증권분석 개정판(1962년) 39장 전문에서는 '성장주 가치평가를 위한 보다 새로운 방법'에 대한 제시가 나옵니다.

 

여기서 벤자민 그레이엄은 성장주의 가치평가를 통한 안전마진 확보 계산법을 설명하는데요.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주식의 1주당 가치 = 현재의 정상이익(eps) x (향후 7~10년 예상 연평균 이익증가율 x 2 + 8.5)

 

예를 들어, 해당 기업의 eps가 주당 3이라고 하고, 향후 7년간 평균적으로 볼 때 연 10%를 성장하는 성장 기업을 보겠습니다.

 

계산은, 3 x (10 x 2 + 8.5) = 85.5입니다.

따라서 1주당 85.5달러를 해당 기업의 향후 7년간의 평균적인 적정 주가로 가치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다음은 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등 매그니피센트 7 기업과 그 외 요즘 인기 있는 몇 개의 기업들의 가치평가표입니다.(보기 어려워 보여서 아래에 별도로 보기 좋게 정리한 그림이 있습니다.)

eps 결산월 23.9. 24.6. 24.1. 23.12. 23.12. 23.12. 23.12. 23.10. 23.12. 23.12. 23.12. 23.12. 23.12. 23.12. 24.3. 23.12.
eps(gaap) 6.13 11.82 1.22 2.9 16.19 6.24 10.07 3.35 4.3 12.03 0.58 0.09 -1.05 7.99 29.43 0.25
현재 주가 216.24 406.02 104.75 166.94 517.77 163.67 891.68 148.26 200.00 633.94 19.71 30.01 179.11 211.80 890.25 40.23
향후 7년간의 예상 이익 성장률(연평균) 애플
(AAPL)
마소
(MSFT)
엔비디아
(NVDA)
아마존
(AMZN)
메타
(META)
알파벳a
(GOOGL)
일라이릴리
(LLY)
브로드컴
(AVGO)
테슬라
(TSLA)
넷플릭스
(NFLX)
인텔
(INTC)
팔란티어
(PLTR)
GE버노바
(GEV)
퍼스트솔라
(FSLR)
덱커
(DECK)
온홀딩
(ONON)
7.5%(안전마진높음) 144.06 277.77 28.67 68.15 380.47 146.64 236.65 78.73 101.05 282.71 13.63 2.12 - 187.77 691.61 5.88
10% 174.71 336.87 34.77 82.65 461.42 177.84 287.00 95.48 122.55 342.86 16.53 2.57 - 227.72 838.76 7.13
12.5% 205.36 395.97 40.87 97.15 542.37 209.04 337.35 112.23 144.05 403.01 19.43 3.02 - 267.67 985.91 8.38
15% 236.01 455.07 46.97 111.65 623.32 240.24 387.70 128.98 165.55 463.16 22.33 3.47 - 307.62 1,133.06 9.63
20% 297.31 573.27 59.17 140.65 785.22 302.64 488.40 162.48 208.55 583.46 28.13 4.37 - 387.52 1,427.36 12.13
25% 358.61 691.47 71.37 169.65 947.12 365.04 589.10 195.98 251.55 703.76 33.93 5.27 - 467.42 1,721.66 14.63
30% 419.91 809.67 83.57 198.65 1,109.02 427.44 689.80 229.48 294.55 824.06 39.73 6.17 - 547.32 2,015.96 17.13
35% 481.21 927.87 95.77 227.65 1,270.92 489.84 790.50 262.98 337.55 944.36 45.53 7.07 - 627.22 2,310.26 19.63
40% 542.51 1,046.07 107.97 256.65 1,432.82 552.24 891.20 296.48 380.55 1,064.66 51.33 7.97 - 707.12 2,604.56 22.13
45% 603.81 1,164.27 120.17 285.65 1,594.72 614.64 991.90 329.98 423.55 1,184.96 57.13 8.87 - 787.02 2,898.86 24.63
50% 665.11 1,282.47 132.37 314.65 1,756.62 677.04 1,092.60 363.48 466.55 1,305.26 62.93 9.77 - 866.92 3,193.16 27.13
60% 787.71 1,518.87 156.77 372.65 2,080.42 801.84 1,294.00 430.48 552.55 1,545.86 74.53 11.57 - 1,026.72 3,781.76 32.13
70% 910.31 1,755.27 181.17 430.65 2,404.22 926.64 1,495.40 497.48 638.55 1,786.46 86.13 13.37 - 1,186.52 4,370.36 37.13
100% 1,278.11 2,464.47 254.37 604.65 3,375.62 1,301.04 2,099.60 698.48 896.55 2,508.26 120.93 18.77 - 1,665.92 6,136.16 52.13
130% 1,645.91 3,173.67 327.57 778.65 4,347.02 1,675.44 2,703.80 899.48 1,154.55 3,230.06 155.73 24.17 - 2,145.32 7,901.96 67.13
170% 2,136.31 4,119.27 425.17 1,010.65 5,642.22 2,174.64 3,509.40 1,167.48 1,498.55 4,192.46 202.13 31.37 - 2,784.52 10,256.36 87.13
200%(안전마진낮음) 2,504.11 4,828.47 498.37 1,184.65 6,613.62 2,549.04 4,113.60 1,368.48 1,756.55 4,914.26 236.93 36.77 - 3,263.92 12,022.16 102.13

 

 

다음은 이를 보기 좋게 정리한 표입니다.

 

벤자민 그레이엄 증권분석에 따른 가치평가표

 

* eps는 gaap(일반회계기준) eps 기준입니다.

* eps는 eps 결산 발표월 기준 지난 1년간의 eps입니다.

 

* 표를 보는 방법은,

테슬라의 현재 주가는 200달러이고, gaap eps는 4.3이므로 165.55~208.55 노란색 음영 표시 구간에 위치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테슬라는 7년간 연평균 20%는 성장해야 현재 주가의 가치가 유지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기업은 대부분 평균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기보다는 1~2년 등 짧은 기간 동안 이익이 폭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매년 20%씩 꾸준히 성장해야 할 필요는 없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반응형

 

* 안전마진이 일정 확보된 구간은 위 파란색 표시 구간인 7.5%~10% 구간입니다.

* 노란색 음영 표시는 현재 주가가 해당 구간에 위치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 빨간색 음영 표시는 이전 구간 대비 현재 구간으로 상승했다는 뜻입니다.

* 파란색 음영 표시는 이전 구간 대비 현재 구간으로 하락했다는 뜻입니다.

 

* 순서는 시총이 큰 것부터 왼쪽에 위치합니다.

* eps가 적자였던 경우 - 표시되어 있습니다.(gev는 실제로는 올해는 흑자 상태입니다. 24. 12. 이후에 반영할 예정입니다.)

 

 

저는 위 종목 중 7개 종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알파벳은 150달러대로 내려오면 싸보여서 사볼 만한 것 같아요.

단순히 표만 볼 때는 이미 저평가 상태로 보입니다.

 

저는 위 기업들 중 거래에서 손실을 본 종목은 인텔 1 종목이 있습니다.

 

 

 

표를 보고 오해하시면 안 되는 것은,

 

아래에 있다고 비싼 게 아니고, 위에 있다고 싼 게 아닙니다.

이익성장률이 해당 구간보다 높다면 아직도 싼 것이고,

이익성장률이 해당 구간보다 낮다면 여전히 비싼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엔비디아가 현재 35~40% 구간에 위치하고 있지만,

만약 향후 7년간 매년 연평균 50% 성장한다면, 여전히 싼 것이죠.

(반대로 연평균 30% 정도 성장한다면, 비록 매우 높은 성장률이지만 주가는 그 이상 이미 반영된 것이므로 비싼 것이 됩니다.)

 

 

즐거운 투자생활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