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삼국지전략판

삼국지전략판 악진 공략(전법, 덱, 병서) - 21.11.25 기준 쿠폰 포함

by 다롱이 2021. 11.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삼국지전략판 관련 글은 오랜만에 올리네요.

 

삼전에서 악진은 상대적으로 비선호 장수입니다.

고유전법인 임전선등으로 인해 자신에게 허약을 부여한다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이 있기도 하고,

낮은 지력수치에다가 무력증가량도 높지 않는 등 스탯도 애매해서 그런 것 같아요.

 

무엇보다도 위나라는 조조나 장료, 사마의를 중심으로 덱이 짜여지는 편인데, 

악진은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야 하는 장수라고 생각이 되거든요. 그래서 잘 어울리지 않는 느낌이 있어요.

 

하지만! 저는 조조가 아직 없어서 악진을 어찌 사용해볼까 고민고민하다가 덱을 짜보게 되었습니다.

 

일단 악진의 기본 정보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병종 적성은 기병, 창병, 병기 S입니다.

 

스탯 상승량은 무력 2.06, 지력 0.72, 통솔 1.77, 속도 1.17입니다.

스탯이 좋은 편은 아니죠? 그냥 무난한 수준입니다.

지력상승량이 낮은 게 약점입니다.

 

열전은 오자양장입니다.

장료, 서황, 악진, 우금, 장합 조합인데요.

병종 조합이라든가 밸런스 면에서 활용하기는 힘든 열전입니다.

 

이어서 고유전법입니다.

임전선등인데요. 악진이 포함된 덱의 핵심전법입니다.

 

매턴 100% 확률로 발동하는 게 최대 장점(신기묘산이 있는 제갈량 덱을 상대로는 최대 단점)이고요.

적군 2명에게 매턴 무기 공격(피해율 135%)을 가하고 나서 자신에게 허약을 부여합니다.

 

악진 턴 -> 임전선등 발동 -> 적 2명에게 각각 135%씩 무기공격 피해 -> 자신에게 허약 부여 -> 해당 턴에 추가 공격을 할 시 데미지 0(공격은 가능한데 딜이 없는 거죠) -> 턴 종료 -> 다음 턴 시작 시 허약 해제 -> 임전선등 발동

 

이런 매커니즘을 가집니다.

 

따라서 악진에게는 다른 액티브 공격 전법이나 돌격 전법을 장착하면 아무런 효과를 보지 못하고 낭비만 하게 되는 거죠.

당연히 일반공격도 데미지가 0인데요. 이건 크게 신경쓰진 않아도 됩니다.

악진의 임전선등 자체가 일반공격을 매턴마다 2.7회 가하는 효과이기 때문에 일반공격이 임전선등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면 될 것 같고요.

단순히 일반공격을 하기 위해 무모를 껴주는 것은 전법 낭비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악진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전법 중 하나인 문무 겸비입니다.

무기 피해를 줄 때마다 무력이 30 증가하며, 최대 5회 중첩되고 전투 종료시까지 지속됩니다.

 

악진은 매턴 발동하는 임전선등으로 인해 첫 턴에 2회 중첩(2명을 공격하므로) + 일반 공격 1회 중첩으로 총 3회 중첩이 되고, 둘째 턴에 임전선등 발동이 끝나면 5회 중첩이 완료됩니다.

 

2턴 종료 시 기준으로 이미 무력 150의 상승이 가능한 거죠.

악진은 문무 겸비가 있고 없고에 따라 주는 전법 피해량이 많이 달라지니, 악진을 사용하려면 가급적 문무 겸비를 준비해주는 게 좋아 보여요.

 

이어서 무모입니다.

무모는 통찰 2턴+무기피해량 대비 42% 병력 회복 전법인데요.

악진에게 별로 어울리지는 않는 전법인 것 같습니다. 물론 나쁘지는 않아요.

 

단순히 일반공격을 하기 위해서 전법칸 1개를 소모하는 건 비효율적이고요.

발동률이 35%밖에 되지 않아서 전투당 1~2번 정도밖에 발동하지 않는데, 체감상으로는 보통 0~1회 발동해요..

통찰은 일반 공격을 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다음 턴에 공포, 허망, 허약 등이 걸려서 임전선등을 낭비하게 되는 걸 방지하는 차원이라고 보면 될 것 같아요.

 

배반도 나쁘진 않습니다.

전보를 보면 무모가 발동된 이후 2턴간 임전선등으로 인해 병력 회복이 되는 건 사실인데요.

문제는 병력 회복량이 많지가 않아요. 최대한 많이 회복해도 2,000명 내외인데, 정말 잘 발동할 때 기준입니다.

보통은 회복량이 0인 경우가 정말 많고, 평균적으로 좋게 봐도 500~1,000명 사이로서 별 도움이 되지 않아요.

악진은 2~3턴부터 폭딜을 넣어서 맞기 전에 공격해야 하는 장수라서, 회복보다는 전법 피해량을 올리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이어서 분투입니다.

분투는 3턴까지 일반공격을 하면 총 36%의 무기피해 증가 효과가 있고요.

별도로 35% 확률로 타깃에게 추격하여 무장 해제를 1턴간 부여합니다.

 

무기피해량 36%가 증가하면, 임전선등의 무기피해량이 171%가 됩니다. 2명에게 매턴 171% 공격이죠.

데미지 증가량 면에서 좋습니다만, 그렇다고 체감이 확 될 정도는 아닙니다.

 

35% 확률의 무장해제. 이건 거의 안 터지네요.

없다고 봐도 되는 수준입니다... 체감상 20% 정도밖에 안 되는 것 같아요. 설령 발동을 해도 적 책사에게 발동하거나 등등 큰 영향은 없습니다.

 

분투와 무모를 비교하면, 둘 다 아쉬운 점이 있는 전법인 것 같습니다.

이건 이제 시즌 2에서 어느정도 해결이 될 것 같네요.

 

시즌2 장씨, 장료의 전승 전법인 용감한 선봉입니다.

발동률은 45%의 돌격 전법.

자신이 방어 1회 획득 및 다음 턴 액티브 전법(임전선등)의 무기 피해량 80% 증가입니다.

 

임전선등이 135%니까, 215%가 됩니다. 적 2명에게 215%의 전법 피해량을 줄 수 있는 거죠.

합계 430%!

 

발동확률을 고려하면, 분투와 용감한 선봉은 평균 피해량 증가분이 비슷합니다.

(분투는 2턴째에 12%, 3턴째에 24%, 4턴째부터 36% / 용감한 선봉은 45% 확률로 80%이므로 평균 36%이나 8턴에 발동하는 건 효과 없음)

 

차이점은 분투는 35% 확률로 1인 무장해제를 부여하고, 용감한 선봉은 발동 시 100% 확률로 악진에게 방어 1회를 부여하는 것이죠.

연인의 포효, 일망타진 등 연계 제어기가 없는 덱 특성상 35% 확률의 1인 무장해제보다는 방어 1회가 나아 보입니다.

 

아무튼 방어 획득으로 유지력을 올리고, 피해량도 강화되니 잘 어울리는 전법인 것 같습니다.

 

이어서 악진의 전승 전법인 봉시진인데요.

악진덱에는 별로 어울리진 않는 것 같아요.

악진을 주장으로 쓰기에는 방어가 약한 악진이 사망하는 수가 있고,

부장으로 쓰기에는 임전선등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부장으로 조조와 곽가를 넣을 수 있다면, 봉시진의 약점을 모두 보완하면서 악진의 강점을 극대화할 수 있으니 정말 좋겠죠?

 

문무겸비가 발동하는 로그입니다.

임전선등 1타깃 공격 후 무력 30 증가, 연달아서 2타깃 공격 후 30 증가.

일반공격 후 30 증가. 1턴 종료 시 총 90 증가.

2턴 임전선등 1타깃 공격 후 30, 2타깃 공격 후 30으로 무력 150 중첩이 완료됩니다.

노진급이고 무력상승 장비 일부 장착한 상태인데 무력이 498.58이 나오네요.

 

 

이상은 악진 관련 시즌1 기준 내용입니다.

 

시즌2부터는 병서가 개방되는데요.

 

병서는,

1. 만용비용+승리/집예(시즌3) => 책략피해 부담을 줄이고, 초반 피해량을 강화.

2. 이치격란+장위/귀모(시즌3) => 하후돈의 도발과 연계 임전선등 강화, 서량의 철기와 조합하면 회심 27.5%까지 가능.

3. 허점 찌르기+장위/귀모(시즌3) => 하후돈의 도발이 발동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임전선등 강화 가능. 회심은 2.와 같음.

 

저는 2번. 이치격란+장위(시즌3부터는 귀모 추가)를 사용할 계획입니다.^^

 

추천하는 조합은,

하후돈: 서량의 철기(대체: 유혹), 자극(대체: 격렬한 설전, 천리의 구원 순)

 * 회심으로 임전선등 피해량 극대화. 문무 겸비를 조합하지 않으므로 전체 도발의 발동률(정욱의 십면매복과 연계) 위주로 고려. 절대반격은 사용해보니 어정쩡함.

악진: 문무 겸비(대체: 대체불가), 용감한 선봉(대체: 분투, 무모 순)

 * 무모는 토지개척용으로는 사용할만 함.

정욱: 잠피기봉(대체: 대체불가), 사별삼일 or 관우의 상처(대체: 고성사수)

 * 잠피기봉은 악진의 낮은 지력, 정욱의 낮은 통솔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음. 힐은 고성사수가 나을 수도 있음.

 

악진이 S+급 장수는 아니겠죠. 어쩌면 S급도 아닐 수 있습니다.

 

조조가 없는 상황에서 사용하고는 있지만, 시즌2에서 조조를 얻게 된다면 아마도 조조/하후돈/정욱 조합을 쓰거나, 조조/악진/정욱 + 하후돈은 쟁 중 1인덱으로 6토 개척으로 활용할 것 같습니다.

 

 

!!! 이상 악진 관련 내용은 마치고, 아래는 쿠폰입니다.

 

주군님 감사합니다

지스타 참가 축하하지

삼전판과 함께 달콤한 하루 보내세요

5지는 선물

하늘이 열린 날

MC는 안수민 아나운서

아름다운 우리 한글

세계인의 축제 즐기고 상도 받아가자

시즌4 세력간의 전쟁

 

이상입니다.

즐삼하세요.

 

삼국지 전략판 다른 글 함께 보기

[삼국지전략판] 가성비 갑 A급 전법 정보 및 공략

[삼국지전략판] 축성 공략 (조폐창, 공방, 장군막사, 창고, 악부) + 시즌3 군둔 추가

[삼국지전략판] 하후연 공략(전법, 병서, 특징, 조합)

삼국지전략판 하후돈 공략 (1인덱, 전법, 병서, 조하정, 조가정 등 정석덱) - 21.12.16. 사용가능 쿠폰 포함

삼국지전략판 병서(새시즌 초기화, 재료, 재설정 + 작전,허실,군형,구변) 공략

삼국지전략판 정욱 공략(전법, 병서, 십면매복 설명 등) - 신규쿠폰 포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