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정부지원금정보/생활법률

공무원 최초 음주운전에도 해임 징계처분 가능 / 강화된 음주운전 징계규정 보기

by 다롱이 2022. 5.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올해부터 강화된 공무원 음주운전 징계기준이 적용됩니다.

 

가장 큰 특징은 최초 음주운전의 경우에도 혈중알코올농도가 높거나 음주측정에 불응할 경우 해임 처분까지 가능하도록 강화된 것인데요.

 

공무원 음주운전 징계규정. 최초 음주운전, 음주측정 거부 때도 해임 처분까지

 

징계처분 규정을 떠나서 음주운전 절대 하면 안 되겠죠.

아침 숙취 운전도 매우 위험하답니다.

 

<공무원 음주운전 징계기준(공무원 징계령 시행규칙 별표 1의5)>

음주운전 유형 처리기준
최초 음주운전을 한 경우 혈중알코올농도가 0.08퍼센트 미만인 경우 정직 - 감봉
혈중알코올농도가 0.08퍼센트 이상 0.2퍼센트 미만인 경우 강등 - 정직
혈중알코올농도가 0.2퍼센트 이상인 경우 해임 - 정직
음주측정 불응의 경우 해임 - 정직
2회 음주운전을 한 경우 파면 - 강등
3회 이상 음주운전을 한 경우 파면 - 해임
음주운전으로 운전면허가 정지 또는 취소된 상태에서 운전을 한 경우 강등 - 정직
음주운전으로 운전면허가 정지 또는 취소된 상태에서 음주운전을 한 경우 파면 - 강등
음주운전으로 인적 물적 피해가 있는 교통사고를 일으킨 경우 상해 또는 물적 피해의 경우 해임 - 정직
사망사고의 경우 파면 - 해임
사고 후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에 따른 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 물적 피해 후 도주한 경우 해임 - 정직
인적 피해 후 도주한 경우 파면 - 해임
운전업무 관련 공무원이 음주운전을 한 경우 면허취소 처분을 받은 경우 파면 - 해임
면허정지 처분을 받은 경우 해임 - 정직

 

반응형

 

파면, 해임, 강등, 정직은 중징계에 해당하고, 감봉, 견책은 경징계에 해당합니다.

 

 

참고로 공무원이 훈장, 포장, 국무총리 표창, 청장 표창(6급 이하 공무원 등만 해당)을 받거나 모범공무원에 선발된 적이 있는 경우 징계를 감경받을 수 있는데요.

 

징계를 감경받게 되면 해임이면 강등으로, 강등이면 정직으로, 정직이면 감봉으로 이렇게 한 단계 내려가게 됩니다.

 

하지만 음주운전의 경우 아무리 공적이 있어도 감경을 받을 수 없습니다.(공무원징계령시행규칙 제4조)

 

음주운전 절대 금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