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즈업 방어건물 공략 1편입니다.
박격포, 대전차포, 벙커, 저격탑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편은 대공포, 막사, 모래포대 / 3편은 벽, 화염배럴, 미사일함정, 화염함정입니다.)
1. 박격포
박격포는 적을 오래 묶어 둘 수 있는 지역을 공격범위로 설정해서 배치하면 좋습니다.
탄환이나 저격 공격을 잘 버티는 편이고, 대신 폭발 공격에는 금방 부서집니다.
그리고 미사일 공격 1방에 부서집니다.
정확도는 20%로 낮지만, 이게 또 공격 메인차량을 잘 맞추는 편이어서 배치만 잘해두면 상대가 까다롭게 느끼도록 할 수 있는데요.
첫 번째 방법. 보통 최전방 라인에 벽 2~3개를 치고 그 안에 박격포만 넣어서 적이 어느 정도 지나가면 공격이 가능하도록 방향을 아군 쪽으로 돌려둡니다.
그러면 상대는 이걸 집중사격이나 미사일 명령을 사용해서 부숴야 하는데, 이건 또 메인 방어라인을 뚫는 데도 써야 하니 좀 아깝죠.
그렇다고 무시하고 지나가자니, 뒤에서 계속 날아오는 포탄에 아군 피해가 누적되기 때문에 까다롭습니다.
두 번째 방법. 벽 3개 이상을 치고 대공포도 1개를 같이 넣어줍니다.(대공포 3개 이상 배치 가능할 때)
그러면 미사일로도 뚫기가 힘드니, 공격명령+미사일 명령 2개를 쓰거나 집중사격 명령을 써야 부술 수 있게 되죠.
집중사격을 안 가지고 시작하는 유저도 많기 때문에 이렇게 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세 번째 방법. 그냥 아군 방어선 안쪽에 배치하는 방법인데요. 대공포 3개를 촘촘히 둘러싸는 방어 배치일 때 좋습니다. 방어라인을 밀집해서 상대를 묶어두고 박격포를 계속 날리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괜히 대공포 1~2개일 때 안쪽에 배치하면, 미사일 명령 공격에 금방 녹아버릴 수 있고, 그러면 상대에게 에너지만 주는 꼴이 되기 때문에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대전차포
대전차포는 한 방, 한 방이 너무 무섭죠.
공격력이 정말 높습니다.
하지만 탄환 공격에 매우 쉽게 녹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일단, 대전차포는 공격범위의 끝 지점에 적이 왔을 때, 적이 대전차포가 아니라 벙커를 공격하게 만드는 배치를 짜는 게 핵심입니다. 지도 중간에 생성되어 있는 지형지물인 바위 주변에 철조망과 벽을 잘 깔아 두고 배치하면 좋습니다.
참고로 대전차포는 미사일 명령 공격에 잘 버티기 때문에 굳이 대공포 안에서 보호받을 필요가 별로 없습니다.
대부분 대전차포를 대공포 안에 두지만, 크게 필요성이 없다는 거죠.
대신 대전차포는 최전방에 배치해 돌격병 등의 탄환 공격을 받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즉 안쪽에 배치해야 하죠. 하지만 반대로 집중사격 명령의 주요 타깃이 되기 때문에 안쪽에 배치했다가 그 앞에 있는 방어라인까지 주욱 녹아버리는 일이 발생해선 안 되겠죠.
그래서 위나 아래, 또는 위아래 양쪽 구석에 배치하는 게 좋습니다.
그러면 상대가 집중사격을 대공포 하나만 부수는 데 쓰게 만들 수 있어요. 게다가 집중사격 명령이 안 나온다면 더 효과적으로 버티면서 적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3. 벙커
벙커는 적 탄환이나 저격 공격에 매우 잘 버팁니다.
반면 폭발 공격에는 쉽게 부서지고요.
벙커의 특징은 체력이 매우 높다는 점인데요.
이를 최대한 이용하는 배치를 짜야합니다.
뒷 라인에 있는 벙커는 아무 쓸모가 없기 때문에 최전방에 2개나 3개까지만 배치하면 됩니다. 더 많을 필요가 없는 것 같아요.
벙커는 옆 면에 벽을 쳐두면 좋습니다. 적의 사격 라인과 벙커 사이에 벽이 아슬아슬하게 걸치도록 해두면 적 공격을 벽이 많이 흡수해줍니다.
상대 폭발, 탄환 공격이 벽에 걸리기 때문에 더 오래 버틸 수 있거든요.
반대로 벙커의 공격도 벽에 걸리긴 하지만, 어차피 벙커의 목적은 공격보다는 어그로를 끌어 주면서 오래 버티는 것이기 때문에 벽을 꼭 옆에 같이 쳐주세요.
그리고 벙커는 미사일 명령 공격을 1방은 버티기 때문에 대공포 범위 안에 꼭 넣어야 하진 않습니다.
물론 넣을 수 있으면 넣는 게 좋지만요.
4. 저격탑
저격탑은 공격력이 좋지만, 방어력은 확실히 약합니다.
건물 중 특이하게 화염 폭탄 명령에 매우 약하고(2방에 터짐), 체력이 낮고 탄환 저항이 30% 정도로 다른 건물에 비해 낮아 탄환 공격도 별로 버티지 못하며, 폭발 공격에는 거의 버티지 못하는데요.
미사일 명령 1방에 터지는 게 약점이지만, 사실 반대로 미사일 명령 1개와 교환할 수 있는 건물이기도 합니다.
저격탑의 배치 핵심은 벽과 벽 사이에 구멍을 내고, 그 좁은 틈을 이용해서 적을 공격하도록 배치하는 것입니다.
벽과 벽 사이의 틈에서 쏘게 되면 상대로 저격탑을 제대로 공격하기 쉽지 않아요. 특히 벙커가 어그로를 끌어주는 상황에서 저격탑이 벽 틈으로 쏘게 배치되어 있으면요.
대공포 범위 안에 굳이 둘 필요도 없습니다.
물론 넣으면 좋지만, 제일 소중한 건물은 막사, 박격포, 아군 베테랑 모래포대 유닛이기 때문에 저격탑 중 1개 정도는 일부러 대공포 범위 밖에 둬서 미사일 명령을 사용하게 만드는 것도 나쁘지 않아요.
저격탑은 막사와 떨어져서 배치하는 게 좋고, 박격포와도 떨어져 있는 게 좋습니다.
안 그러면 미사일 명령 한 방에 2개 이상의 건물이 날아가게 되니까요.
'모바일게임 > 건즈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즈업] 무과금 프로리그 공격방법, 병종덱, 명령 공략 (건즈업 11편) (0) | 2022.08.29 |
---|---|
건즈업 7/29 패치노트 요약 + 유닛 명령 장비 일부건물 업그레이드 비용 정보 (0) | 2022.07.31 |
[건즈업] pve 기지방어, 감옥탈출, 좀비공습 보상 정리 (건즈업 8탄) (5) | 2022.05.11 |
[건즈업] 장비 공략. 전술장갑, 방탄복, 대구경 등 총 정리 (건즈업 7탄) (5) | 2022.05.10 |
[건즈업] 무과금 챌린저 전투 방법, 추천 덱, 병종, 명령 공략 (6탄) (4) | 2022.05.05 |
댓글